오늘은 DSR 40%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.
내년 7월에 대출자별 DSR 40% 적용 범위는 총 대출액 2억원 초과에 이어 2023년 7월에는 총 대출액 1억원 초과 대출자로 확대된다고 합니다. 정부는 DSR 40% 규제가 전면 시행되면 투기 수요가 가라앉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건데요.
DSR는 영어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 풀어 설명하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말합니다. 대출자가 갖고 있는 주택대출 원리금 외 신용대출, 자동차 할부, 학자금 대출,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리금이 연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못하게 규제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죠.
금융위원회가 설정한 DSR 한도는 40%, 연소득이 1000만원 이라면 해마다 부담하는 원리금이 400만원을 넘도록 돈을 빌릴 수 없게끔 만드는 것이죠. 이처럼 DTI는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 외 다른대출은 이자상환액만 더해 한도를 계산하는 반면 DSR은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기준으로 심사하기 때문에 DSR이 DTI보다 더 엄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Ι DSR 40% (기존대출x)
1) DSR : 40%
2) 연소득 : 5천만원
3) 기존대출 : 0원
4) 시중금리 : 4%
★ 신규대출시 120개월/만기일시상환 : 1.4억 대출가능
#
|
적요
|
금액
|
비고
|
1
|
연소득
|
50,000,000
|
입력값
|
2
|
총대출건수
|
1
|
(본건 포함)
|
3
|
대출1
|
140,000,000
|
주택담보대출, 만기일시상환, 금리 4%
|
4
|
대출1 기간
|
120개월
|
전체 기간
|
5
|
연원금상환액1
|
14,000,000
|
대출총액 / 대출기간(10.00년)
|
6
|
연이자상환액1
|
5,600,000
|
실제납부이자
|
7
|
총 원리금상환액
|
19,600,000
|
대출 원금 + 이자 상환액
|
8
|
DSR
|
39.2%
|
총 원리금상환액 / 연소득 * 100
|
Ι DSR 40% & 원리금상환(기존대출x)
★ 원금균등상환 : 1.45억
# | 적요 | 금액 | 비고 |
1 | 연소득 | 50,000,000 | 입력값 |
2 | 총대출건수 | 1 | (본건 포함) |
3 | 대출1 | 145,000,000 | 주택담보대출, 일부 원금균등분할상환, 금리 4% |
4 | 대출1 잔액 | 145,000,000 | 입력값 |
5 | 대출1 기간 | 120개월 | 전체 기간(잔여 120개월) |
6 | 연원금상환액1 | 14,500,000 | 실제 상환액 |
7 | 연이자상환액1 | 5,534,167 | 실제납부이자 |
8 | 총 원리금상환액 | 20,034,167 | 대출 원금 + 이자 상환액 |
9 | DSR | 40.07% | 총 원리금상환액 / 연소득 * 100 |
★ 원리금균등상환 : 1.65억
#
|
적요
|
금액
|
비고
|
1
|
연소득
|
50,000,000
|
입력값
|
2
|
총대출건수
|
1
|
(본건 포함)
|
3
|
대출1
|
165,000,000
|
주택담보대출, 일부 원금리균등분할상환, 금리 4%
|
4
|
대출1 잔액
|
165,000,000
|
입력값
|
5
|
대출1 기간
|
120개월
|
전체 기간(잔여 120개월, 거치 120개월)
|
6
|
연원금상환액1
|
13,446,537
|
실제 상환액
|
7
|
연이자상환액1
|
6,600,000
|
실제납부이자
|
8
|
총 원리금상환액
|
20,046,537
|
대출 원금 + 이자 상환액
|
9
|
DSR
|
40.09%
|
총 원리금상환액 / 연소득 * 100
|
Ι DSR 40% & 원리금상환(전세보증금 3억/24개월 만기상환)
★ 만기일시 : 0.6억
# | 적요 | 금액 | 비고 |
1 | 연소득 | 50,000,000 | 입력값 |
2 | 총대출건수 | 2 | (본건 포함) |
3 | 대출1 | 300,000,000 | 전세대출, 만기일시상환, 금리 4% |
4 | 대출1 기간 | 24개월 | 전체 기간 |
5 | 연원금상환액1 | 0 | 원금 상환 반영하지 않음 |
6 | 연이자상환액1 | 12,000,000 | 실제납부이자 |
7 | 대출2 | 60,000,000 | 주택담보대출, 만기일시상환, 금리 4% |
8 | 대출2 기간 | 120개월 | 전체 기간 |
9 | 연원금상환액2 | 6,000,000 | 대출총액 / 대출기간(10.00년) |
10 | 연이자상환액2 | 2,400,000 | 실제납부이자 |
11 | 총 원리금상환액 | 20,400,000 | 대출 원금 + 이자 상환액 |
12 | DSR | 40.8% | 총 원리금상환액 / 연소득 * 100 |
★ 원금균등상환 : 0.58억
# | 적요 | 금액 | 비고 |
1 | 연소득 | 50,000,000 | 입력값 |
2 | 총대출건수 | 2 | (본건 포함) |
3 | 대출1 | 300,000,000 | 전세대출, 만기일시상환, 금리 4% |
4 | 대출1 기간 | 24개월 | 전체 기간 |
5 | 연원금상환액1 | 0 | 원금 상환 반영하지 않음 |
6 | 연이자상환액1 | 12,000,000 | 실제납부이자 |
7 | 대출2 | 58,000,000 | 주택담보대출, 일부 원금균등분할상환, 금리 4% |
8 | 대출2 잔액 | 58,000,000 | 입력값 |
9 | 대출2 기간 | 120개월 | 전체 기간(잔여 120개월) |
10 | 연원금상환액2 | 5,800,000 | 실제 상환액 |
11 | 연이자상환액2 | 2,213,667 | 실제납부이자 |
12 | 총 원리금상환액 | 20,013,667 | 대출 원금 + 이자 상환액 |
13 | DSR | 40.03% | 총 원리금상환액 / 연소득 * 100 |
★ 원리금균등상환 : 0.66억
# | 적요 | 금액 | 비고 |
1 | 연소득 | 50,000,000 | 입력값 |
2 | 총대출건수 | 2 | (본건 포함) |
3 | 대출1 | 300,000,000 | 전세대출, 만기일시상환, 금리 4% |
4 | 대출1 기간 | 24개월 | 전체 기간 |
5 | 연원금상환액1 | 0 | 원금 상환 반영하지 않음 |
6 | 연이자상환액1 | 12,000,000 | 실제납부이자 |
7 | 대출2 | 66,000,000 | 주택담보대출, 일부 원금리균등분할상환, 금리 4% |
8 | 대출2 잔액 | 66,000,000 | 입력값 |
9 | 대출2 기간 | 120개월 | 전체 기간(잔여 120개월) |
10 | 연원금상환액2 | 5,378,615 | 실제 상환액 |
11 | 연이자상환액2 | 2,640,000 | 실제납부이자 |
12 | 총 원리금상환액 | 20,018,615 | 대출 원금 + 이자 상환액 |
13 | DSR | 40.04% | 총 원리금상환액 / 연소득 * 100 |
확실히 대출이 조금 적게 나오는게 보이시죠?
하지만 DSR계산의 끝은 아직 아닙니다.....
DTI와의 다른점이 DSR의 경우 주택관련 대출 외 신용대출/카드론 등 기타 대출금액에 대한 부분도 산정해서
실제 이자지불가능액수를 보고 대출을 결정해주겠다는 것입니다.
따라서 다음시간에는 DSR 대출한도계산할 때 기타대출까지 포함해서 계산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.
그리고 2022년 부동산 대출에대한 총정리도 함께 해드리겠습니다.
도움이 되셨다면,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'Life Information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부동산대출규제 한도 총정리(LTV, DTI, DSR, DSR 40%) (5) | 2021.12.27 |
---|---|
2022년 대출규제 계산방법(LTV, DTI, DSR) %로 알아보자 (14) | 2021.12.21 |
전세 절대 들어가지 마세요. 전세금 못 돌려 받습니다. (12) | 2021.12.20 |
2022년 대출규제(LTV, DTI, DSR) 꼭 알아야 합니다. (12) | 2021.12.17 |
2022년 부동산버블 대폭락 시작? (4) | 2021.12.16 |
댓글